더불어 살피고, 함께 나누는 활기 넘치는 추석 명절
2025년 추석 명절 민생안정 종합대책
도민 모두가 편안하고 안전한 추석 연휴를 보낼 수 있도록 '추석 명절 민생안정대책'을 마련해 집중 추진합니다.
안정적인 지역경제
추석 물가안정 관리체계 구축
- 1물가안정 추진체계 구축
- 물가안정 종합상황실 운영
- 물가 관련 현황 관리 및 현장방문 실시
- 바가지요금 신고센터 운영
- 2성수품 중점관리
- (가격조사) 추석명절 핵심 성수품 21종 중점관리 품목에 대한 가격 동향 조사 및 지자체 누리집에 조사결과 제공
- (유관단체 협조) 외식업 협회, 상인회 등에 명절 성수품 가격인상 자제요청, 가격표시제 준수 등 민간 주도의 자율적 물가안정 협조 요청
- 3민관 합동점검반 운영
- 바가지요금, 상거리질서 위반행위(가격·원산지 표시 불이행 등) 등 집중 점검
전통시장·골목상권 활성화
- 1쓸수록 돌아오는 소비 혜택! 상생페이백!
- (목적) 전년 대비 증가한 소비액의 일정 부분을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하여 소비 진작 및 소상공인 지원
- (규모) 1조 3,200억원(페이백 지급 기준)
- (대상) ❶만 19세 이상(’25년말 기준)이고, ❷2024년 중 본인 명의의 신용‧체크카드 사용실적이 있는 국민 및 외국인
- (내용) ’25년 9~11월 카드소비액*이 ’24년 월평균 소비액*보다 증가 시, 증가분의 20%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
* 상생페이백 누리집(상생페이백.kr)에서 본인인증 후 ‘24년 월평균 및 ’25년 월별 카드소비액 확인 가능(개인 보유 모든 카드 실적 합산) - (혜택) 1인당 월별 최대 10만원(3개월 30만원 한도)
<상생페이백 환급액 예시>‘24년 월평균 카드소비액 ‘25년 카드소비액(전년대비 증가분) 9월 10월 11월 100만원 1,100,560원(+100,560원) 130만원(+30만원) 150만원(+50만원) 환급액 20,112원 6만원 10만원 - (신청) 상생페이백 누리집(상생페이백.kr)에서 신청(9.20.~11.30.) 가능
- 2골목상권 이용 확대를 위한 지원 강화
- 전통시장 상시 주차허용 및 한시 확대(9.1.~10.9., 39일간)
- (상시) 전주 모래내, 군산 명산·주공, 익산 북부·매일 등 14개소
- (한시) 익산 황등시장(양측 0.3km)
- 범도민 추석 맞이 전통시장 이용 캠페인 전개
- 전통시장 상시 주차허용 및 한시 확대(9.1.~10.9., 39일간)
- 3전통시장 온누리상품권 적극 활용 권장
- 온누리상품권 개인 구매 연중 상시 할인
구분 월별 개인 구매한도 할인율 적용기간 지류형 온누리상품권 50만원 5% 연중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200만원 10% - 국내산 농축수산물 소비 촉진을 위한 온누리상품권 환급(10.1.~10.5.)
- (내용) 당일 국내산 농축수산물 구매 금액의 최대 30% 환급(1인 최대 2만원)
- <농축산물 10개 시장> 전주 ①남부‧풍남문상점가, ②모래내, ③신중앙‧중앙상가, ④군산 주공, 익산 ⑤북부‧익산장, ⑥서동 ⑦정읍 샘고을 ⑧남원 공설, ⑨임실시장, ⑩부안 상설시장
<수산물 9개 시장> 전주 ①남부‧풍남문상점가, ②모래내, 군산 ③공설‧신영‧역전, ④수산물종합센터, ⑤익산 남부‧구시장, ⑥북부‧익산장, ⑦정읍 샘고을, ⑧김제 전통‧중앙, ⑨고창 전통시장
- 온누리상품권 이용 협력 및 공무원 단체 구입 추진(행사기간)
- 온누리상품권 개인 구매 연중 상시 할인
- 4지역상품권 확대를 통한 지역 소비 활성화
- 추석 명절 지역사랑상품권 구매한도 및 할인율 확대를 통한 소비 촉진
시군 개인별 월 할인구매 한도 할인율 특별판매 기간 기존 변경 기존 변경 전주시 50만원 변동없음 10% 13% 9~12월 군산시 50만원 70만원 10% 13% “ 익산시 60만원 100만원 10% 13% 구매10월, 할인9~12월 정읍시 50만원 70만원 10% 15% 9~12월 남원시 70만원 100만원 10% 15% “ 김제시 70만원 100만원 10% 20% 구매9~12월, 할인10월 완주군 50만원 변동없음 10% 13% 9~12월 진안군 50만원 변동없음 10% 20% 구매9~12월, 할인10월 무주군 70만원 변동없음 10% 15% 9~12월 장수군 50만원 변동없음 10% 15% “ 임실군 50만원 변동없음 10% 15% “ 순창군 50만원 150만원 10% 15% “ 고창군 50만원 70만원 10% 20% 구매9~12월, 할인10월 부안군 50만원 70만원 10% 15% 구매10월, 할인9~12월 - 지역사랑상품권 구입 및 부정수취 및 불법환전 등 부정유통 집중 점검
- 추석 명절 지역사랑상품권 구매한도 및 할인율 확대를 통한 소비 촉진
성수물품 등 유통환경 집중점검
- 1추석 명절 농․축산물 원산지 표시 단속
- 명절 소비증가 및 원산지 표시 의무대상 농․축산물 단속(9.8.~10.2.)
- 수산물 원산지 표시 합동점검(9.22.~10.2.)
- 2추석 명절 대비 다소비 식품 조리·판매업소 합동점검(9. 4.~9. 17.)
- 3선물세트류 등 과대포장 집중점검(9.15.~9.30.)
지역 우수상품 판매확대
- 1지역 우수상품 온라인 마케팅 확대
- 3개 종류, 276개 업체, 1,559개 품목 참여
- 2제16회 온·오프라인 생생마을 한가위 큰장터 개최
- (온라인 한가위 큰장터)
- (기간) 8. 18.(월) ~ 10. 20.(월), 64일간
- (운영) 우체국 e-post, 전북생생장터
- (특징) 할인율 10%에서 40%까지 적용된 가격으로 판매
- (오프라인 한가위 큰장터)
- (기간/장소) 9. 19(금) ~ 20.(토), 2일간 / 도청 서편광장
- (규모) 49개 부스 설치(판매부스 44, 기관홍보 4, 라이브커머스 1)
- (온라인 한가위 큰장터)
전방위적 민생지원
취약계층 생활부담 경감 지원 강화
- 1저소득 세대 및 사회복지시설 등 어려운 이웃 지원 (9.12.~10.2.)
- (대상) 중위소득 100%이내 저소득 취약계층 또는 사회복지시설
- (내용) 저소득 가정(2,940세대), 사회복지시설(359개소) 현금 및 물품 지원
- 2저소득 재가노인 식사배달 추진 (9.22.~10.2.)
- (대상) 거동불편으로 경로식당을 이용할 수 없는 저소득 결식우려독거노인(2,400여명)
- (내용) 명절음식(떡, 전 등)배달
- 3아이돌봄 서비스 지원(10.3.~10.9.)
- (대상) 만 3개월 ~ 12세 아동을 양육하는 돌봄수요 발생 가정
* 이용아동 수 : 3,633명(’25. 8월말) - (내용) 연휴기간 아이돌봄 서비스 이용시 평일요금 적용
* (평일요금) 시간당 12,180원, (휴일요금) 시간당 18,270원 **평일의 50% 가산
- (대상) 만 3개월 ~ 12세 아동을 양육하는 돌봄수요 발생 가정
- 4지역상품권 확대를 통한 지역 소비 활성화 (9.15.~추석 전 지급 완료)
- (지급대상) 농어민 166,303명
- (지 급 액) 756억원(도 302, 시군비 454)
- (지급방법) 농어민 1인가구 60만원, 2인 이상 가구 1인당 30만원 지역화폐 지급
소외계층 보살피는 온기나눔 문화 확산
- 1장애아가족 양육지원사업을 위한 장애아돌보미 파견 강화(10.3.~10.9.)
- (대상) 18세 미만 장애정도가 심한 장애아동 가정(중위소득 120% 이하 무료)
※ 이용자 수 : 499명(’25년 8월 말) / 종사자 수 : 343명 - (내용) 장애아돌보미가 장애가 심한 장애아동가정에 방문하여 돌봄지원
- (대상) 18세 미만 장애정도가 심한 장애아동 가정(중위소득 120% 이하 무료)
- 2소외계층을 위한 대상별 맞춤 지원
- 자립준비청년, 노숙인, 결식아동, 여성 등 지원
- 3추석 맞이 집중 자원봉사주간 운영
중소기업·소상공인 경영 부담 완화 맞춤 지원
- 1소상공인 특례보증 및 중소기업 긴급경영안정자금 지원
구분 상품 규모 (억원) 지원대상 지원금액 대출금리 계 14개 상품 6,112 중소기업
․
소상공인회생보듬자금 특례보증 4,312 도내 소기업 소상공인 최대 2억원 3.5% 내외 민생회복
응급구조119대환보증 250 보증부대출 이용기업 전차보증 잔액 이내 1년간 3.4% 내외
1년 이후 4.4% 내외만기연장 100 민생회복 응급구조 119 기이용기업 전북 위기극복 특례보증 450 긴급경영안정자금필요기업 최대 2억원 3.2%이내(1년간) 정책자금 연계 특례보증 300 소기업 등 최대 70백만원 3.5% 내외 4無 안심자금 특례보증 20 예비창업 또는 기창업 소상공인 최대 1억원 1년 무이자, 2,3년 3~4% 내외 전북형 브릿지 보증 30 폐업자 전차보증 잔액 이내 3.1% 내외 재도전 지원 특례보증 10 대위변제기업, 적채무종결기업 등 최대 5천만원 보증부대출 일반금리 햇살론 20 무등록 사업자 또는
저신용 저소득
소기업·소상공인최대 3천만원 10.5% 이내 재창업 특례보증 50 ’20년 이후 폐업 후
재창업 또는 업종 전환최대 5천만원 5.50% 내외 첫걸음 기업 지원 특례보증 70 재단 첫거래 소기업·소상공인 최대 5천만원 5.50% 내외 외식업·전통시장 활성화 특례보증 50 외식업 영위 또는 전통시장에 위치한
소기업·소상공인최대 2억원 5.50% 내외 명절 경영안정자금 150 도내 중소기업 최대 2억원 이차보전 2% 관세대응 특별경영안정자금 100 도내 수출기업 최대 2억원 이차보전 2% 거치기간 1년 연장지원 200 중소기업육성자금 이용 기업 상환예정액 이내 이차보전 2~3.18% - 2신용보증 신속지원 체제 운영 (9.22.~10.2., 2주간)
- (대상) 특례보증 지원 희망자
- (처리일수) 표준처리 일수 단축 : 7일 → 3일
- 3추석명절 대비 임금체불 예방 및 실태점검(8.29.~10.2.)
- (임금체불 예방) 고용부 주관, 임금체불 집중 청산 지도기간 운영
- 도, 산하기관 및 공공건설 현장에 대한 체불현황 조사 및 기관 간 공유 등
- (임금체불 예방) 고용부 주관, 임금체불 집중 청산 지도기간 운영
불편없는 편의제공
명절 특별교통대책 가동·지원
- 1편리하고 안전한 귀성·귀경 편의제공을 위한 대중교통 확충
- (고속버스) 연휴기간 승객 수요에 따라 임시버스 증회(100여대(전국)/11일간)
- (철 도) KTX, 새마을호, 무궁화호 연휴기간 증회*(증 90회/11일간)
* 열차별(KTX 18, 새마을․무궁화 72) / 노선별(호남선 48, 전라선 42) - (공 항) 일 3회 운항 / 진에어
- (시외버스) 주요노선 수송 수요 감안하여 임시버스 마련(10대/일)
- (시내․농어촌버스) 시․군별 자체 증회운행
- 2도-시군 합동 도로정비 및 환경정리 (9.16. ~ 9.29.)
- 지방도와 고속도로IC 주변 포트홀, 안전시설물, 도로표지판 등 중점 정비
- 3귀성객 교통안전 편의지원 대책
- (통행료 감면) 연휴 기간(10.5~8 / 4일간) 고속도로 이용 모든 차량의 통행료 면제로 귀성길 교통비 부담 완화
- (터미널 환경정비) 시설 안전점검, 불법 주정차지도단속(16개반34명)
- 터미널(30개소) 대합실, 화장실, 승․하차장및 편의시설 등 점검, 행선지별 교통안내 등
- (연안여객선 이용객 편의 증진) 여객 폭주 대비 증회운항, 사업계획 변경인가 신속처리(군산해수청)
- (성묘객 편의제공) 도내 공원묘지(14개소) 임시주차장 확보 및 안내요원 배치
- (교통대책 상황실 운영) 교통정보 지원 등 비상연락 체계 유지(10.2~10.12 / 도, 시․군, 유관기관 등 300여명)
- (교통안전 캠페인) 난폭운전 근절, 졸음운전 방지, 교차로 우회전시 일시정지 의무 홍보, 불법주정차 근절, 실시간 교통 정보 및 상습정체구간(39개소) 안내 등(교통사고 캠페인, 신문, 방송, 홈페이지 등 활용)
- (정비업체 운영) 14개 시․군 38개 정비업체 지정(조합 2, 시군 36)
- (주차장 무료 개방) 공영주차장 및 학교운동장 등(약 35,632면)
깨끗한 추석 명절 환경정비 대책
- 1쓰레기 특별수거
- 쓰레기 특별수거체계 구축(10.3~10.9. / 7일 간)
- 상황반․기동반 운영(10.3~10.9. / 7일 간)
- 홈페이지, SNS, 언론매체 등을 통한 홍보 강화(9.29.~10.10. / 2주간)
- 2명절 전·후 대청소의 날 운영(명절 전: 10.1.한, 명절 후: 10.10.한)
- 3환경오염 행위 예방을 위한 특별감시
- 불법행위 근절 계도활동, 감시 및 특별단속 추진
- 「환경오염사고대비상황실」운영(10.3.~10.9.)
차질없는 의료서비스 제공
- 1비상진료체계 구축 및 운영
- 응급진료상황실 운영 : 도 및 14개 시군
- 09:00~18:00, 사무실 내 근무 ※ 18시 이후 비상연락망 유지
- 응급진료기관 및 문 여는 병의원·약국 운영
- 응급의료기관(19개소), 응급의료시설(1개소) 24시간 비상진료체계 유지
- 보건소 및 보건지소‧진료소 비상진료 실시 등
- 지역의료계와 협조를 통해 문여는 병의원, 약국 등 평년 이상 확대 운영
- 온‧오프라인 응급의료기관 및 문 여는 병‧의원 정보 제공
- 재난 및 다수 사상자 발생 대비 신속대응반 등 유지
- 상황발생시 도‧보건소 신속대응반 및 재난거점병원(전북대병원, 원광대병원) 재난의료지원팀이 출동하여 현장응급의료 지원
- 응급진료상황실 운영 : 도 및 14개 시군
- 2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비상연락체계 운영
- 도 및 시·군 감염병 분야 비상연락체계 운영
-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집단발생 등 모니터링 및 대응
- 명절 연휴기간 집단환자 등 특이 동향 발생 시 신속 보고
빈틈없는 안전대응
분야별 상황대응 완벽체계 구축
- 1(종합) 추석 종합상황실 운영
- 사건사고, 생활민원 등 처리, 유관기관과 협조 및 비상 대응체계 구축
- 2(분야)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 태세 구축
- (재난) 13개 분야 협업부서, 유관기관 및 시‧군 비상 연락망 운영
- (소방) 특별경계 근무(10.2.~10.10. / 도내 전 소방관서)
- (구조구급) 119 구조․구급대 긴급 대응태세 구축
- (생활안전) 親서민 119생활안전 서비스
- (수도) 물사용 급증 대비 안정적 수도공급 추진
- (시설물 점검 / 9.15~10.2.) 도내 정수장, 배수지 등 상수도 주요 시설 516개소
- (긴급대응반 / 10.3.~9.) 도·시군 300명, 긴급복구업체 315명 비상근무
- (가축전염병) 가축전염병 발생대비 24시간 신고대응 상황 유지
재난·재해 선제적 신속 대응
- 124시간 상황근무체계 유지 등 선제적 대응
- 24시간 재난상황실 운영(10.3.~10.9. / 1개반 6명 /24시간 교대근무)
- 2지속적 예찰을 통한 인명피해 최소화
- (인명피해 우려 지역) 담당자 지정, 산간 계곡부, 하천변 유원지 등 재해 예‧경보시스템을 활용한 행락객 사전대피 유도
- (침수우려지역 교통관서 합동 사전통제) 하천 내 언더패스 및 둔치주차장에 대한 교통관서 합동 차량 대피 및 선제적 출입 통제 등
- 산간 고립 예상 지역에 대한 마을 담당 공무원 주기적 순찰 시행
- (재난유형별 도민행동요령 홍보) 지역방송, 마을앰프, 전광판 등을 활용, 기상 상황 안내 및 현장 홍보
- 3태풍․호우 등 기상특보 발효 시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
- 4사회재난 상황 관리체계 구축 및 신속한 대응체계 유지
취약 시설물 안전 관리 강화
- 1다중이용시설(승강기) 안전 강화
- 6개 시군 12개소 188대 표본점검 (9.15.~9.26. / 12일간)
- 2전통시장·터미널·레저시설 등 재난취약시설 안전 강화
- 민관합동(도, 시군, 민간전문가) 안전 점검(9.17.~9.24.)
- 3연안여객선 안전관리 강화
- 4추석 명절 대비 화재예방대책 추진
- 화재안전조사 추진 : 79개소
- 화재취약대상 선제적 화재안전 환경 조성
- 안전문화 확산을 위한 화재예방 홍보 활성화
- 5추석 명절,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하기! 홍보 캠페인 추진 (9.8.~10.9., 1개월간)
민생안정 대책 발표 등 집중 홍보
- 1귀성객 등 출향도민 대상 sns 활용 홍보
- 교류중인 37개 전북도민회 및 12개 호남향우회 대상 SNS 홍보채널
- (전북특별자치도) 전북특별자치도 현안, 발전 방향, 특례 소개 등
- (전북사랑도민증) 전북사랑도민증 발급 방법(온라인․수기신청), 혜택(투어패스+가맹점 할인) 등 홍보
- (문화·관광) 연휴 기간 운영하는 문화·예술 공연 및 도내 주요 가볼 만한 관광지·여행지 안내
- (보건·안전) 응급환자 진료를 위한 연휴 중 개점하는 병원·의원·약국 안내
- 교류중인 37개 전북도민회 및 12개 호남향우회 대상 SNS 홍보채널
- 2추석 명절 민생안정 종합대책 발표 및 홍보
- (도 홍보채널 활용) 도 공식 홈페이지, 블로그, SNS, 카카오톡 채널, 유튜브, 전광판 등을 활용한 종합홍보(9.29.~10.9.)
추석연휴 주요정보
추석 연휴기간 문여는 병의원 및 약국현황

도내 추석 연휴기간 문여는 병의원 및 약국현황
알아두면 유익한 긴급 전화번호
안 내 | 전 화 번 호 |
---|---|
정부통합민원서비스 콜센터(국민권익위) | 110 |
응급 구조 | |
응급 질병상담 및 병원 안내 | 119 |
화재․응급환자 | 119 |
당번약국 | 119, www.pharm114.or.kr |
산업재해 등 위험상황신고 | 1588-3088 |
교통정보 | |
종합교통정보 안내 | 1333 |
고속도로 안내 | 1588-2504 |
철도 안내 | 1544-7788 |
고속버스 안내 | 1644-9030, www.kobus.co.kr |
여객선 문의 | 1544-1114, island.haewoon.co.kr |
소비자 피해 상담 | |
소비자 상담센터 | 1372 |
농축산물 원산지 표시위반 신고 | 1588-8112 |
수산물 원산지 표시위반 신고 | 1899-2112 |
부정․불량식품 신고 | 1399 |
체불임금 등 상담 | |
체불임금 구제 (고용부) | 1350 |
무료법률구조지원 (대한법률구조공단) | 132 |
체불근로자 생계비 대부 (근로복지공단) | 1588-0075 |
중소기업․소상공인 애로사항 상담 | |
중소기업 종합상담 (중기청) | 1357 |
중소기업자금지원 (중소기업진흥공단) | 055-751-9000 |
중소기업 법률상담(법무부) | 02-3418-9988 |
소상공인지원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 1357 |
불공정하도급 신고센터 (공정위) | |
하도급대금 미지급․지연지급 등 불공정하도급 관련 신고․상담 | 서울권(02-2110-6125), 부산권(051-460-1045), 대구권 (053-230-6300), 광주권 (062-975-6844), 대전권 (044-200-4603/042-481-8021) |
생활민원 | |
희망의 전화 (각종 사회복지 서비스 안내) | 129 |
아이돌봄 지원사업 | 1577-2514 |
법률상담 (대한법률구조공단) | 132 |
금융관련 상담 피해구제(금융감독원) | 1332 |
실종아동 신고접수 | 112 |
환경신문고 (수질·대기·폐기물 등 환경오염행위 신고) | 128 |
여성긴급전화 | 1366(이주여성: 1577-1366) |
청소년상담전화 | 1388 |
24시간 운영 응급의료기관(시설) 현황
권역응급의료센터(2개소)
관할구역 | 병 원 명 | 소 재 지 | 전화번호 |
---|---|---|---|
전주권역 | 전북대학교병원 | 전북 전주시 덕진구 건지로 20 | 063-250-2222 |
익산권역 | 원광대학교병원 | 전북 익산시 무왕로 895 | 1577-3773 |
지역응급의료센터(8개소)
병 원 명 | 소 재 지 | 전화번호 |
---|---|---|
예수병원 | 전북 전주시 완산구 서원로 365 | 063-230-8283 |
전주병원 | 전북 전주시 완산구 한두평3길 13 | 063-220-7599 |
대자인병원 | 전북 전주시 덕진구 견훤로 390 | 063-250-8701 |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의료원 | 전북 군산시 의료원로 27 | 063-472-5129~5130 |
동군산병원 | 전북 군산시 조촌로 149 | 063-440-0515~0516 |
익산병원 | 전북 익산시 무왕로 969 | 063-840-9114 |
정읍아산병원 | 전북 정읍시 충정로 606-22 | 063-530-6129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의료원 | 전북 남원시 충정로 365 | 063-620-1114 |
지역응급의료기관(9개소)
병 원 명 | 소 재 지 | 전화번호 |
---|---|---|
호성전주병원 | 전북 전주시 덕진구 동부대로 895 | 063-240-8861 |
김제우석병원 | 전북 김제시 서암4길 45 | 063-540-5119 |
진안군의료원 | 전북 진안군 진안읍 진무로 1145 | 063-430-7119 |
무주군보건의료원 | 전북 무주군 무주읍 한풍루로 413 | 063-320-8314 |
장수군보건의료원 | 전북 장수군 장수읍 장천로 247 | 063-351-8000 |
임실군보건의료원 | 전북 임실군 임실읍 호국로 1680 | 063-640-3119 |
순창군보건의료원 | 전북 순창군 순창읍 교성로 135 | 063-650-5222 |
고창종합병원 | 전북 고창군 고창읍 화신1길 9 | 063-560-5555 |
부안성모병원 | 전북 부안군 부안읍 오정2길 24 | 063-580-8119 |
응급의료시설(1개소)
병 원 명 | 소 재 지 | 전화번호 |
---|---|---|
전주고려병원 | 전북 전주시 덕진구 안덕원로 367 | 063-240-7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