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6 전주 하계올림픽 개최계획
비전
세계를 맞이하는 전통과 미래의 향연
개최방향
- 2036 올림픽 개최를 통해 세계 속의 전북특별자치도 이미지 형성
- 전 세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가치의 발판 제공
- 디지털 강국으로서 기술 선도와 지속가능한 올림픽, 함께하는 대회를 통해 올림픽대회 정신 고취
슬로건
- 추진전략
- 핵심과제
3S
핵심과제
Smart Digital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융복합
- 천년의 유산, 새로운 세상을 여는 2036 전주 하계올림픽 비전 제시
- AI 스포츠와 가상공간 스포츠 구현으로 미래 올림픽 청사진 제시
- 6G,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등 미래 핵심 서비스로 기술 올림픽 선도
Sustainability
환경, 사회, 휴먼으로 여는 무한한 가능성
- 자연, 전통, 미래를 담은 2036 전주 하계올림픽대회 개최
- 환경 보호의 비전과 지속가능성 실현
- 다양성, 평등성, 포용성을 담은 사회적 가치 구현
Society Together
지구촌을 하나로, 모두의 축제
- 엘리트체육과 생활체육, 디지털체육 조화의 장 마련
- K-문화로 모두의 지구촌, 하나의 문화 공동체 실현
-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을 활용한 역대 최고의 패럴림픽대회 개최
4Ware
핵심과제
HardWare
미래도시 인프라
- 친환경 에너지, 재활용 시스템, 탄소중립으로 지속가능한 그린인프라 조성
- 모듈형 공법으로 효율적인 건축물 인프라 구축
SoftWare
K-문화의 특화된 콘텐츠
- 자연과 문화유산 배경의 K-POP 콘텐츠 제작
- 전통과 현대가 아우러진 K-문화 특화 콘텐츠 축제의 장 마련
SmartWare
AI 빅데이터 및 데이터 활용 서비스
- 첨단기술 활용으로 경기중계, 선수훈련, 혁신적 관람객 경험 개선
- 디지털 문맹 해소 및 AI 기반 예측 모델 구축으로 디지털 접근성 강화
- 첨단 감시시스템, 사이버 보안시스템 구축으로 안전 및 보안 강화
HumanWare
굿 거버넌스 중심
- 차별 없이 참여할 수 있는 거버넌스 구축
- 온·오프라인 참여 시스템 구축으로 참여 과정의 편의성 제고
추진배경
- IOC, 올림픽 어젠다 2020 혁신안을 통해 지속가능성 확대 선언
- 기존시설 및 임시 시설 활용 적극 권고, 복수 국가 또는 도시의 공동개최 허용
- 2024 파리 올림픽 개최를 통해 올림픽 대회의 패러다임 대전환
- 경기시설에서 유적·명소 중심으로, 남녀평등, 화합과 연대의 가치 제고
- 올림픽 개최에 대한 재정부담의 완화로 2036 올림픽 유치 경쟁 치열
추진목적
- 지역발전올림픽 유치를 통한
전북특별자치도 혁신성장
기반 마련 - 균형발전집중된 경제력 분산으로
국가 균형발전 및 지방분권의
이정표 제시 - 경 제 성해양·산악자원,
기존·임시시설 활용으로
저비용 고효율 대회 개최
대회개요
- 명 칭
제36회 2036 전주 하계 올림픽(Games of the XXXVI, Jeonju 2036) - 기 간
’36. 7. 27(금) ~ 8. 12(화), 17일간 - 장 소
도심권(어반스포츠 콤플렉스), 새만금권(비치스포츠 콤플렉스), 동부권(밸리스포츠 콤플렉스) + 인접도시 - 주경기장
전주월드컵경기장(증축) - 경기종목
33개 종목(정식종목 28, 선택종목 5) - 참가규모
약 200여 개국, 1,500만명
기대효과
- 투자액
9조 1,781억원 - 경제파급효과 생산유발
28조 - 부가가치 유발
13조 - 취업유발
37만명
(단위 : 억원, 명, %)
구분 | 생산유발효과 | 부가가치유발효과 | 취업유발효과 | |||
---|---|---|---|---|---|---|
규모 | 비중(%) | 규모 | 비중(%) | 규모 | 비중(%) | |
전국 | 404,174 | 100.0 | 178,053 | 100.0 | 449,823 | 100.0 |
전북 | 279,721 | 69.2 | 128,864 | 72.4 | 374,178 | 83.2 |
타지역 | 124,453 | 30.8 | 49,189 | 27.6 | 75,645 | 16.8 |
※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경제적 효과 : 직접효과 21조원(향후 10년간 34조원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