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토지이용계획
- 구역 전라북도 군산시, 김제시, 부안군 일원
- 규모 409㎢(매립:291, 담수호:118)
- 주요시설 방조제 33.9㎞, 방수제 62.1㎞, 배수갑문 656m
- 총사업비 22조 1,900억원(국비 10.91, 민자 10.33, 지방 0.95)
새만금 인프라조성
- 새만금 신항 18선석 ’23년 1단계완공
- 새만금 국제공항 활주로, 2,500×45m 여객터미널 1동 등 ’28년 완공예정
- 대야~새만금항 철도 단선 43.1km ’25년 완공
- 새만금-전주간 고속도로 55.1km(4차선) ’24년 준공(’23년 개통 추진)
- 동서2축도로 20.4km(4차선) ’20년 준공
- 남북2축도로 26,7km(6~8차선) ’22년 준공(3·4공구) ’23년 준공(1·2공구)
새만금잼버리
- 기간
- 2023년 8월 중(12일간)
- 장소
- 전북 새만금 일원(10,000,000㎡, 약 300만평)
- 참가규모
- 169개국 5만명
- 주제
- Draw Your Dream!(네 꿈을 펼쳐라!)
스마트수변도시조성

도시 내부 인공해변과 같이 다양한 친수공간을 조성하는 등 새만금의 가장 큰 장점이자 매력
사업규모
- 면적 6.6㎡(200만평)
- 인구 2.1만명(주택 1만세대)
- [녹지] 133.4만㎡, [상업] 51.0만㎡, [업무] 8.6만㎡, [주거] 91.7만㎡, [공업] 16.7만㎡
구분 | 면적(㎢) | 비율(%) | 주요내용 |
---|---|---|---|
계 | 291 | 100 | |
산업연구용지 | 41.7 | 14 | - 주력산업, 신성장 동력 산업 및 관련 연구시설 용지 조성 |
국제협력용지 | 52 | 18 | - 산업, 물류, 기술혁신, 국제도시 기능을 갖춘 복합용지 조성 |
관광레저용지 | 36.8 | 13 | - 해양레포츠, 체험형관광 등 복합관광레저용지 조성 |
농생명용지 | 94.3 | 32 | - 친환경 농산업기반 구축, 첨단농업시설 조성 |
환경생태용지 | 42 | 15 | - 조류 서식지, 생태습지 조성 |
배후도시용지 | 24.2 | 8 | - 수변공간을 활용한 첨단 명품도시 조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