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컬대학30’, 지역혁신 산학협력의 허브로

  • 작성자대변인
  • 조회수84
  • 작성일2023-07-04
  • 기고자김종훈
  • 담당부서대변인

* 2023년 7월 4일(화)자 전북일보 제10면에 게재된 김종훈 전라북도 경제부지사의 기고문 전문입니다.

 

글로컬대학30’, 지역혁신 산학협력의 허브로

 

김종훈 전라북도 경제부지사

 

6월 20일 교육부가 ‘글로컬대학30’ 예비지정을 발표했다. 예비지정에 포함된 15개 대학중 도내에서는 유일하게 전북대가 포함됐다.

 

도내 5개 대학도 예비지정은 안됐지만 ‘차별화된 혁신 전략’ 마련을 위해 최선을 다했다. 선정 여부를 떠나 각 대학의 대도약을 위해 후속조치가 가시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글로컬대학30’은 비수도권 대학 30곳에 5년 동안 대학 당 약 1천억원을 지원하는 정책이다. 당초 올해 10개 대학 선정시기를 7월로, 30개 대학 지정 시점을 2027년으로 했으나, 올해 선정 시기는 10월로, 30개 선정 시점은 2026년으로 수정했다.

 

교육부가 ‘대학의 혁신 의지와 발전 가능성’을 놓고 대학과 지역간 치열한 ‘혁신경쟁’을 유도하기 위해 올해 선정 시기를 늦춘 것으로 보이며, 2026년까지 30개를 선정하겠다는 것은 대학 혁신의 시급성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교육부는 앞으로 10~15년을 대학 혁신의 ‘골든타임’으로 보고 있다. 통계청 장래인구추계(‘21)에 따르면 2021년 48만명이었던 대입자원이 2046년 26만명으로 절반가까이 감소하며, 같은 시기 전북의 입학자원도 18,522명에서 8,109명으로 56%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수도권 쏠림’까지 더해져, 지역대학의 위기는 가속화되고 있다. 도내 대학의 전북지역 재학생 비율은 51.7% 수준이다. 타 지역 충원율이 높다는 것은 대학 졸업 후에 지역에 정착하지 않고 떠나는 확률이 크다는 의미이다. 지역대학의 위기가 지역 인구 감소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육부는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과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에 이어 ‘글로컬대학30’에도 ‘지자체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전라북도는 이 기회를 통해 지역 실수요에 기반한 인재양성-기업유치-취․창업-정주로 이어지는 지역발전 선순환 구조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기업수요 맞춤형 인재양성을 위한 학사구조 및 교육과정 융합, 재구조화 등 교육혁신을 지원하고, 대학의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하여 지역 산업이 필요로 하는 신기술 개발 연구 및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지․산․학 연계 등 협력 강화에 중점을 둘 방침이다.

 

이를 통해 글로컬대학이 최근의 융복합농생명, 미래신소재, 수소산업, 이차전지 등 증가하는 지역산업 수요에 발빠르게 대응하여 ‘전북을 책임질 인재를 키우는’ 산학협력의 허브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할 것이다.

 

산학협력의 대표적인 성공사례는 미국의 리서치 트라이앵글 파크(RTP : Research Triangle Park)다. RTP는 제조업 쇠퇴로 어려움을 겪던 노스캐롤라이나 주정부와 대학, 기업이 협력하여 지역혁신을 통해 지역을 되살렸다. 우수한 인재들을 활용해 IBM, 시스코 등 세계적인 기업 700곳을 포함한 총 7000개 이상의 기업 및 연구소가 입주한 비즈니스 생태계를 구축했다. 제조업 쇠퇴로 어려움에 처한 지역이 첨단 과학기술단지로 완전히 탈바꿈한 것이다.

 

‘글로컬대학30’을 계기로 전라북도와 지역 대학이 함께 지역밀착형 혁신을 발굴하고 적극 실행함으로써 지역 소멸 위기와 지역 대학 위기를 동시에 해결하는 ’리서치 트라이앵글 파크‘의 기적이 우리 지역에서 재생되기를 희망해본다.

 

 

 

전북일보 인터넷 홈페이지 링크 주소

http://www.jjan.kr/article/20230630580027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