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청년농의 목소리 반영 필요

  • 작성자공보관
  • 조회수122
  • 작성일2022-07-26
  • 기고자최선우
  • 담당부서공보관

* 2022. 7. 26일(화)자 새전북신문 제10면에 게재된 최선우 전북농업기술원 연구사의 기고문 전문입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청년농의 목소리 반영 필요

 

최선우 전북농업기술원 연구사

 

앞으로 국가의 식량 자급도를 높이기 위해서 청년 인적자원을 농업과 농촌으로 얼마나 유입하고 정착시킬 것인가에 달려있다. 여기서, 정착이란 뜻은 농촌에 살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서 소득을 얻고 가족을 형성하며 마을의 일원으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농가현장을 다니면 손주가 태어나 도시를 다녀와야 한다는 반가운 소리는 가끔 듣지만 마을에 어린아이가 태어났다는 이야기를 듣기가 힘들다. 카톡에 해맑은 아이의 사진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정작 아장아장 걸어 다니는 어린 아가들은 만나기가 어렵다.

 

2021년 도시 거주 인구는 4천7백만 명으로 우리나라 전체인구의 91% 이상이 도시에 집중되어 있다. 전라북도는 행정구역으로 나누어 인구분포를 보면 도시지역 집중도는 79.6%로 100%를 차지하는 수도권에 비하여 농촌인구가 상대적으로 높다. 실제 서울특별시, 경기도,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등을 제외한 7개 도의 도시지역 인구 집중도는 80% 미만으로 각 도의 20~30%의 인구는 농촌에 거주하고 있다. 앞으로도 인구의 도시 집중화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함에 따라 농촌 인구의 감소가 예견되어 2020년 말 “인구감소지역”을 지정·고시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해 “국가균형발전 특별법”을 개정하고 있다.

 

국가가 지역소멸 대책을 세우고 있는 동안, 우리는 현장에서 다양한 형태의 농업인을 만난다. 평생을 그 자리에 터전을 잡고 살아왔거나, 귀농 또는 농업농촌 창업을 일구며 뿌리를 내리기 시작하는 사람들이다. 기술컨설팅을 진행하다 보면 영농이력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사연들을 가지고 농촌에 정착한 이야기도 듣게 된다. 대부분이 전북이 고향이기에 내려오기도 했지만, 전북을 고향으로 삼고자 내려온 이들도 있다. 자리 잡기까지 지역의 도움을 받기도 하며, 농산물을 하나씩 생산해 내고, 가공까지 연계시키기도 한다. 지역소멸을 논하기가 무색할 정도로 스스로 무언가를 일궈내기 위해 노력한다. 일부는 농외소득과 병행하며 로컬푸드와 연계하고, 일부는 전업농으로 타지역과의 유통망을 구축하며 소득을 올린다.

 

며칠 전, 전북농업기술원(원장 박동구)에선 천적활용기술이 농업현장에 제대로 정착하기 위한 노력의 목적으로 농업인 기술개선간담회가 열렸다. 이날 참석자 중에 드디어 30대인 젊은 피가 나타났다. 그동안 현장에서 영농기반을 잡고 환경친화적인 기술을 도입하기 위하여 고전분투하면서 노력하던 선배들의 천적활용 성공사례를 지켜보며, 자기 자리를 지키고 있던 젊은이다.

 

처음부터 정착이 쉬웠던 것은 아니다. 새로이 시작한다는 것은 때론 좌절도 포함하는 다양한 경험을 해야 하기에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을 것이다. 부모가 농사기반이 있다고 해도 고령화되는 농촌에 부부가 같이 정착하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미래의 친환경스마트팜을 꿈꾸는 오기수, 오세란 부부(군산)도 앞서가는 농업기술을 배우면서, 변화무쌍한 날씨, 가족, 지역 주민들과 함께 소통하는 방법도 터득해야만 했다. 그 사이 사랑스러운 아이도 태어나면서 그들의 시간도 서서히 단단해지고 있다. 그의 이번 참석에는 작목반의 대표 성격도 띠었다. 나서서 애로사항을 해결하고, 작목반이 의견을 누군가에게 개진하며, 때론 목소리도 높여가며, 불편을 개선하려는 의지를 보였기에 선배들의 마음도 열렸으리라.

 

그들과 같은 청년들이 농촌에 하나둘씩 보이기 시작한다. 반갑기만 하다. 이들의 안정적인 영농승계를 위해서 부모의 농사기반을 물려받을 법적 장치도 필요하다. 청년농 영농정착지원금 지급기간 연장 등 영농후계자 유입을 위해 농촌사회에 정착할 수 있는 정책들이 국회에 상정되고 있다고 한다.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농정원)도 “청년농지원처”를 신설하면서 정착을 위한 방안들을 강구하고 있다. 각 정책부서에서 청년농을 포함하려는 노력 또한 반갑기만 하다. 스마트팜 관련 청년농 정책이 가장 앞서 있어 보인다. 친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청년농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반영된 정책이 현장까지 전달된다면 지역을 살리는 데 큰 힘이 될 것이다.

 

 

 

새전북신문 인터넷 홈페이지 링크 주소

http://www.sjbnews.com/news/news.php?code=li_news&number=752294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