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량 위기 시대, 농도(農道) 전북의 길

  • 작성자공보관
  • 조회수102
  • 작성일2022-08-01
  • 기고자전정희
  • 담당부서공보관

* 2022. 8. 1일(월)자 전북일보 제10면에 게재된 전정희 전북여성교육문화센터장의 기고문 전문입니다.

 

식량 위기 시대, 농도(農道) 전북의 길

 

전정희 전북여성교육문화센터장

 

세계는 지금 이상기후로 인한 폭염, 가뭄, 산불, 홍수 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한국기후변화 평가 보고서 2020’에 의하면 지난 100년에 걸쳐 국내 평균 기온은 약 1.8℃ 상승했다.

 

기후 위기는 북극의 빙하나 북극곰의 생존 문제만이 아니라 ‘식량 위기’라고 하는 세계적 재앙과도 맞물려 있다. 한반도에서도 온난화로 인해 전통적 농작물의 생육환경이 달라져 재배지역과 수종의 변화, 수확량의 감소가 나타나고 있다.

 

올봄, “꿀벌이 사라졌다”는 뉴스가 크게 보도되었다. “꿀벌이 멸종하면 인류도 4년 안에 사라진다”는 아인슈타인의 경고를 빌지 않더라도 벌들이 꽃가루를 옮기지 않으면 인류의 식량 생산에 엄청난 차질을 초래할 것은 불 보듯 뻔하다.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밀과 옥수수 같은 각종 곡물 수출이 막히면서 글로벌 이상기후와 함께 식량 위기가 더욱 심화되고 있다.

 

기왕에도 우리나라는 식량 위기에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다. 한국의 식량 자급률은 2020년 기준 19.3%에 불과해서 연간 1,600만톤의 식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이것은 미국(120.1%), 중국(91.1%)과 비교할 때 터무니없이 낮은 수준이며, 일본(27.3%)에도 미치지 못하는, OECD 38개국 중 최하위다. 게다가 작금에는 태양광 패널로 뒤덮이거나 아파트 부지로 전용되거나 해서 농사가 가능한 땅조차 점점 줄어들고 있다.

 

전북은 ‘농도(農道)’라고 불린다. 드넓은 호남평야를 품고 있기 때문이다. 익산에 국가식품클러스터가 들어온 것도 우연이 아니고 혁신도시를 지정할 때 농업 관련 기관들이 대거 전북으로 이전해 온 것도 이러한 맥락에 있다.

 

과거 “농자천하지대본(農者天下之大本)”이라고 했지만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농업은 점차 쇠퇴했고 농민은 가난해졌다. 농업국가이면서 부국(富國)인 덴마크 같은 나라는 그래서 늘 선망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이제 농업은 과거의 농업이 아니다. 1차 산업으로만 인식되던 농업은 6차 산업으로 도약하고 있으며 그린 바이오, 스마트 팜등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새로운 전북 도정(道政) 역시 농생명 산업에 대한 관심을 여러 측면에서 드러내고 있다. 인수위 TF팀에 ‘농생명산업지원단’을 포함시켰고, 도지사 취임사에서도 전북을 ‘농생명산업 수도’로 정립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더불어 정무부지사를 경제부지사로 바꾸고 농식품부 차관 출신을 임명해서 전북 미래 먹거리 산업을 책임지도록 했다.

 

산업화 시기에 뒷전으로 밀려났던 농업은 식량 위기의 시대에 다시 인류사의 중심으로 부상하고 있다. 반도체와 전자제품, 자동차로 돈을 아무리 많이 벌어도 농산물 수입의 길이 막히면 방법이 없다.

 

코로나 19 발생 이후 베트남, 인도, 캄보디아, 태국 등 주요 쌀 수출국들이 수출을 전면 금지하면서 국제 쌀가격이 폭등했고, 러시아 역시 밀 수출을 한시적으로 금지시켰다. 유엔에 따르면 곡물을 전략 자원으로 지정하고 수출을 금지한 나라가 35개국에 달한다. 식량이 국가 간의 무기가 되고 ‘식량 주권’, ‘식량 안보’라는 단어가 무게를 갖는 이유다.

 

더 이상 ‘강 건너 불’이 아닌 엄중한 식량 위기의 시대에 전북이 농생명 산업의 중심이 되고, 대한민국을 먹여 살리는 어머니의 땅이 될 수 있도록 진정한 농도(農道)로서의 길을 찾았으면 한다.

 

 

 

 

전북일보 인터넷 홈페이지 링크 주소

https://www.jjan.kr/article/20220731580121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