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주위보(貫珠爲寶), 새만금

  • 작성자공보관
  • 조회수107
  • 작성일2022-08-22
  • 기고자김종훈
  • 담당부서공보관

* 2022년 8월 22일(월)자 전북일보 제 10면에 게재된 김종훈 전라북도 정무부지사의 기고문 전문입니다.

 

관주위보(貫珠爲寶), 새만금

 

김종훈 전라북도 정무부지사

 

6,604,229명, 2021년 새만금방조제를 방문한 사람의 숫자이다. 2010년 방조제가 개통된 이후, 수많은 사람이 새만금을 찾고 있지만, 새만금방조제 위에 시원하게 뚫린 77번 국도를 달리는 것만으로 새만금 관광이 끝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33.9km, 월드 기네스북에 등재된 세계 최장의 방조제 자체도 거대한 관광자원이 될 수 있겠지만, 1억2천만 평이 넘는 새로운 땅에 만들어질 관광도시 새만금의 모습을 상상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새만금은 개발과 환경 보존이라는 갈등으로 방조제 건설에만 20여 년이 걸렸다. 내부용지 조성도 계획보다 늦어지게 되면서 사업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도 상당하다. 일각에서는 희망 고문이라고 힐난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새만금은 지난 정부에서 공공주도 개발방식이 도입되면서 내부용지 매립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럼에도 새만금의 면적이 워낙 넓다 보니 그 변화를 체감하기 힘들다. 알기 쉽게 비교하면 새만금은 그 크기가 980ha인 전북혁신도시의 41배에 달하는 4만ha를 개발하는 사업이다.

 

같은 이유로 새만금 내·외부의 관광자원들이 많다고 생각하지 못한다. 특히 2020년 이전까지 내부 연결도로가 없어 외곽으로 멀리 돌아서 다음 관광지까지 가야 했으니, 단일 지역이라고 보기가 어려웠을 것이다.

 

새만금 지역에 속해 있는 고군산군도는, 신선들이 놀고 갔다는 선유도를 비롯해 63개의 섬이 제각각의 매력을 뽐낸다. 2018년 완공된 고군산군도 연결도로는 이 천혜의 비경을 단숨에 전라북도 대표 관광지로 올려놓았다.

 

새만금홍보관, 잼버리공원, 가력생태공원, 새만금어린이랜드, 환경생태단지 등 기존의 관광자원과 함께 국립새만금간척박물관, 국립새만금수목원 등도 순차적으로 개장을 앞두고 있다.

 

새만금 인근의 군산 근대역사거리와 은파유원지, 김제 망해사와 벽골제, 부안 변산반도국립공원과 채석강 등의 주요 관광자원까지 연계해 본다면, 새만금은 이미 수려한 관광도시라 할 것이다.

 

2020년 개통된 새만금 동서도로와 2023년 남북도로, 2024년 새만금-전주 고속도로가 연이어 완공되고 나면, 새만금에 넓게 분포되어 있는 관광지의 접근성은 훨씬 좋아지고, 하나의 관광권으로 묶여 시너지 효과가 상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2025년 크루즈의 접안이 가능한 신항만 2개 선석이 준공되고, 2028년 새만금 국제공항이 완성될 때쯤이면, 외국의 관광 수요까지 수용할 수 있는 인프라가 갖춰지고, 국제적인 관광도시로 발돋움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될 것이다.

 

시장이 수요에 반응하듯, 2024년 신시도에 200실 규모의 호텔이 완공되고, 이어 동급 호텔이 추가로 지어질 예정이다. 이와 함께, 챌린지테마파크, VR·AR리조트 등 민간사업자들의 투자가 이어지고 있으며, 정주형테마마을, 해양관광단지 등 재생에너지 발전 연계형 사업들도 협상이 진행되고 있다.

 

국내·외를 연결하는 교통망과 관광자원, 그리고 새롭게 만들어질 관광인프라를 생각하면 글로벌 테마파크 유치가 꿈이 아니라는 것을 웅변해 준다.

 

새만금에 있는 보석 같은 관광자원들을 하나하나 꿰어가다 보면, 어느새 글로벌 자본이 몰리고, 세계인들이 즐겨 찾는 싱가폴의 마리나베이샌즈 같은 대규모 리조트와 관광명소가 즐비한 국제적인 관광도시로 탈바꿈 될 것이다 몇 년 뒤, 요즘같은 무더운 휴가철에 새만금 국제공항과 크루즈를 통해 입국한 다양한 나라의 사람들과 함께, 모히토 한잔할 수 있는 새만금을 꿈꿔보자.

 

 

 

전북일보 인터넷 홈페이지 링크 주소

http://www.jjan.kr/article/20220821580142

 

목록